반응형
p | q | p ∧ q | p ∨ q | p → q | p ↔ q |
T | T | T | T | T | T |
T | F | F | T | F | F |
F | T | F | T | T | F |
F | F | F | F | T | T |
p이면 q이다(implies, if p then q)
오직 p인 경우에만 q이다(p if and only if q)
위 2가지를 제외하고는 진리값이 직관적입니다.
p이면 q이다의 경우 ~(p ∧ ~q)입니다.
p ↔ q의 경우 ~(p ∧ ~q) ∧ ~(q ∧ ~p)입니다.
나중에 2-sat 구현할때 필요한 내용인데, 저는 이를 모르고 구현하여 애먹었습니다.
반응형
'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렬 정당성 증명 (0) | 2021.02.25 |
---|---|
segment tree (0) | 2021.01.27 |
거듭제곱 (0) | 2020.12.20 |
이항 계수 (0) | 2020.12.17 |